반응형 향수114 향수의 역사(1) 1. 성경 속의 관유(구약성서 출애굽기 30장 23~25절) "너는 상등 향종을 취하되 액체 물약(Myrrh) 오백 세겔과 그 반수의 향기로운 육계(Cinnamon) 이백오십 세결과 향기로운 창포(Calamus) 이백오십 세결과 계피(Cassia) 오백 세결을 성소의 세결대로 하고 감람기름 한 힌을 취하여 그것으로 거룩한 관유를 만들되 향을 제조하는 법대로 향기름을 만들 지니 그것이 거룩한 관유가 되리라." 자연에서 존재하던 향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사용하기 시작한 것에 대해서는 그 유래가 언제부터인 지 정확하지는 않다. 다만 향료에 관한 가장 오랜 된 문헌 기록은 위와 같이 성경에서 찾을 수 있는데, 몰약[아프리카와 아라비아 지방에 자생하는 감람과 식물인 콤미포라 미르라(C. Myrrha)나 콤미포라 아.. 2023. 6. 10. 향료란.. 1. 정의 사전에서는 향료에 대해 화장품·식료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향기가 강한 유기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며 천연향료와 인조향료로 대별된다. 향료(spicery, Cpicery: 식품용, perfumery: 화장품용)란 한마디로 향내(향)을 내는 물질을 통칭한다. 그러한 물질에는 연기를 피워 향내를 내는 향목이나 수지(나뭇진)가 있는가 하면, 뿌려서 향내를 발산하는 향수가 있고, 또 음식에 섞어서 맛을 돋우는 향신료(혹은 조미료) 등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2. 어원 향(Incense)은 향내를 풍기는 물건 혹은 제전에 피우는 향내가 나는 물건을 통칭하며, 향수는 영어로는 퍼퓸(Perfume) 혹은 파르팽(Parfam)인데, 이는 '~.. 2023. 6. 9. 이전 1 ··· 26 27 28 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