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4

향의 정의와 기능 1. 향의 정의 '향'이란 휘발성 물질이 발산될 대 후각신경이 자극을 받아 느끼는 감각 중에서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유익하고 기분을 좋게 하여 쾌감을 주는 냄새'를 총칭하는 넓은 의미이다. 이에 반대되는 의미로는 불쾌한 냄새인 '악취' 또는 '취'이다. 향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로 '오더(Odor)', '오더런트(Odorant)', '센트(Scent)', '프래그런스(Fragrance)', ‘플레이버(Flavor)' 등이 있다. 이러한 단어들은 의미상으로 별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 용어가 쓰이게 된 배경이나 용어의 쓰임새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라틴어 Odor-oris에서 유래된 오더(Odor)란 단어는 일반적으로 향을 총칭하며 일상생활에서 향을 애용했던 고대 그리스의 풍습에서 유래하였다.. 2023. 6. 12.
향수의 역사(2) 8. 유럽중세의 헝가리 워터 (Eau de la Reine de Hongrie, 로즈마리 증류수) 로마가 멸망한 후 가톨릭의 엄격한 지배 아래 금욕적인 문화가 형성되었고 향에 대한 시선도 마찬가지로 어두웠다. 향은 관능적이며 환락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부정적인 비판을 받아 쇠퇴하다가 십자군 전쟁으로 동방세계에서 다시 유럽으로 다양한 향료들이 수입되면서 향 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향료 산업의 역사적에서 중요한 것은 알코올의 생산이다. 기존에는 향료 오일을 녹이는데 포도주 등 발효된 주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향료 원액과 희석액의 향취 차이가 컸다. 하지만 연금술이 발달하면서 13세기 중세 과학자들은 포도주의 증류과정에서부터 알코올 추출에 성공하였으며, 알코올은 거의 모든 방향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어 향.. 2023. 6. 11.
향수의 역사(1) 1. 성경 속의 관유(구약성서 출애굽기 30장 23~25절) "너는 상등 향종을 취하되 액체 물약(Myrrh) 오백 세겔과 그 반수의 향기로운 육계(Cinnamon) 이백오십 세결과 향기로운 창포(Calamus) 이백오십 세결과 계피(Cassia) 오백 세결을 성소의 세결대로 하고 감람기름 한 힌을 취하여 그것으로 거룩한 관유를 만들되 향을 제조하는 법대로 향기름을 만들 지니 그것이 거룩한 관유가 되리라." 자연에서 존재하던 향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사용하기 시작한 것에 대해서는 그 유래가 언제부터인 지 정확하지는 않다. 다만 향료에 관한 가장 오랜 된 문헌 기록은 위와 같이 성경에서 찾을 수 있는데, 몰약[아프리카와 아라비아 지방에 자생하는 감람과 식물인 콤미포라 미르라(C. Myrrha)나 콤미포라 아.. 2023. 6. 10.
향료란.. 1. 정의 사전에서는 향료에 대해 화장품·식료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향기가 강한 유기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며 천연향료와 인조향료로 대별된다. 향료(spicery, Cpicery: 식품용, perfumery: 화장품용)란 한마디로 향내(향)을 내는 물질을 통칭한다. 그러한 물질에는 연기를 피워 향내를 내는 향목이나 수지(나뭇진)가 있는가 하면, 뿌려서 향내를 발산하는 향수가 있고, 또 음식에 섞어서 맛을 돋우는 향신료(혹은 조미료) 등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2. 어원 향(Incense)은 향내를 풍기는 물건 혹은 제전에 피우는 향내가 나는 물건을 통칭하며, 향수는 영어로는 퍼퓸(Perfume) 혹은 파르팽(Parfam)인데, 이는 '~.. 2023. 6. 9.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