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5

향수의 노트별 분류(2) 2. 향노트별특징 4) Fougere Family 1882년 Hubigant의 Fougere Royale이라는 향수에서 유래되었다. 시프레처럼 기존에 없던 노트의 발명이며, 남성 향수의 방향을 제시한 향수로 기록된다. 이 노트 역시 특유의 어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어코드를 사용하는 향을 푸제르(후제아) 노트로 총칭한다. - Top : bergamot, lavender - Middle(heart) : rose, geranium - Base : coumarine, moss, woods 푸제르는 프랑스의 오래된 도시 이름으로 라벤더 향으로 대표된다. 힘이 넘치는 듯하면서도 따듯하고 부드러운 향을 풍기며 라벤더 향과 함께 풀잎, 이끼 향이 같이 느껴지므로 심플하고 편안한 남성상을 표현하는 향수를 만들.. 2023. 6. 22.
향수의 노트별 분류(1) 1. 조합향의 노트 전통적인 조합향은 세 가지 단계의 기술어를 가진다. 최근에는 향의 노트가 다양해지면서 세 개 이상 혹은 단일 노트의 기술어를 가지거나 탑, 미들, 베이스 각각의 대표 향조를 설명하는 방법 등도 사용되기도 한다. 먼저 메인이 되는 향을 선정하여 아홉 가지의 메인 노트 중 포함되는 것을 기준으로 잡은 후에 두 번째, 세 번째로 메인이 된다고 느껴지는 향이 포함된 노트를 찾아 매칭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는 향료 회사에서 정석적으로 노트의 패밀리를 나누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Family(향의 메인 노트) 메인이 되는 향을 선정하여 아홉 가지의 노트 중 포함되는 것을 기준으로 잡는다. - CITRUS : Bergamot, orange, lemon, grap.. 2023. 6. 21.
향과 생활 1. 향의 분류와 적용 향을 이용한 제품은 생활 전반에 걸쳐 우리와 함께한다. 다음 내용은 조합향료가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향장향료와 식품향료로 나눈 것이다. 1) 향장향료(Fragrance) - 향수류 : 향수, 오 데 코롱 등 - 기초화장품 : 크림, 로션, 스킨 등 - 색조화장품 :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 - 헤어화장품 : 샴푸, 린스, 헤어팩 등 - 바디화장품 : 바디클렌져, 바디크림 등 - 기타화장품 : 쉐이빙크림, 비누 등 - 세제류 :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등 - 잡화용품(공산품) : 디퓨저, 캔들, 섬유탈취제 등 - 기타 : 살충제, 도시가스 등 2) 식품향료(Flavor) - 제과용 : 캔디, 초콜릿, 과자 등 - 유제품용 : 우유음료, 아이스크림 등 - 음료용 : 탄산음료, 과즙음료 등.. 2023. 6. 20.
합성향료 1. 합성향료란 1) 합성향료는 흔히 'Chemical material' 혹은 'Raw material'로 불리는 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 성분이 합쳐져 있는 천연향료와 달리 단일의 화학물질이기 때문이다. 화학 또는 합성이라는 명칭 때문에 거부감을 나타내는 사람들도 있지만 천연오일 역시 이 화학물질들의 집합이기 때문에 그 차이는 없다. 예를 들어 천연 Orange oil 안의 Limonene과 화학적으로 추출해 낸 Limonene은 같은 물질이다. 2) 넓은 의미로 합성향료는 천연으로부터 분리해 낸 유리향료와 순수하게 화학반응에 의해 만든 합성향료로 구분된다. 유리향료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화학적인 공정을 거쳐서 분리해 낸 경우 천연향으로 인정받지 못하나 해외에서는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3) 합성향료.. 2023. 6. 19.
반응형

loading